일본의 강압이 계속되는 가운데 학부대신 이완용이 처음으로 찬성의 뜻을 말했다. '일본의 요구는 대세상 부득이한 것이다. 국력이 약한 우리가 일본의 요구를 거절할 수 없을 것이다. 더 이상 감정이 충돌하기 전에 원만히 타협하는 한편 한국의 지위를 보전하는 것이 좋을 듯하다' 라고 찬성하자 내부대신 이지용과 군부대신 이근택도 여기에 동조했다.
오후 11시경 이같은 사태를 더 이상 참지 못한 한규설은 회의장을 뛰쳐나가 고종에게 보고하려 했으나 일본군에 의해 감금되었다. 3시간이 지나도 한규설이 돌아오지 않자 각료들은 한규설이 죽은 줄로만 알고 생명의 위협을 느꼈다.
날을 넘겨 18일이 되고 그동안 반대하던 농상공부대신 권중현은 조약문 수정을 전제로 찬성하고 외부대신 박제순은 황제의 명령이라면 어쩔 수 없다는 책임회피성 애매한 발언을 하면서 찬성해 5명의 과반수 찬성을 했다. 조약 날인은 18일 새벽 1시에서 2시 사이에 이루어졌다. 여기에 찬성한 5명은 을사오적으로 불리게 되었다.
- 설치 시기와 배경:
- 통감부는 1906년 2월 1일 일본에 의해 서울에 설치되었습니다.
- 1905년 11월 을사늑약(제2차 한일협약) 체결로 대한제국의 외교권이 박탈된 후 설치되었습니다.
- 러일전쟁 승리 후 일본이 한반도에 대한 지배권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였습니다.
- 목적과 기능:
- 대한제국 황실의 안녕과 평화 유지라는 명분을 내세웠습니다.
- 실제로는 한국의 내정을 장악하고 식민지화를 위한 준비 기구였습니다.
- 통감이 한국의 외교 사무를 대행하고 내정에 깊이 관여했습니다.
- 조직과 권한:
- 초대 통감으로 이토 히로부미가 부임했습니다.
- 통감은 천황에 직속된 친임관으로, 막강한 권한을 가졌습니다.
- 한국 정부에 행정 사무 집행을 요구할 수 있었고, 군대 사용 명령권도 있었습니다.
- 의의:
- 통감부 설치로 한국은 실질적인 식민지적 성격을 띠게 되었습니다.
- 일제의 식민통치 기본 골격을 형성하는 시험적 단계였습니다.
- 1910년 한일병합의 준비 조직으로 기능했습니다.